정영모

Youngmo JUNG (1952-)

"오늘의 나를 만든 것은 유년의 기억 속에 있는 두 팔 벌려 품어주던 아름드리 나무들이며 아름다운 노랫 소리를 들려주던 새들이며 정겹게 들어앉은 지붕 낮은 집들이며 들녘을 가로지르던 바람이지 않았을까."

고향이야기

Mixed colouring on Paper, 116.8 x 80 cm

30,000,000 KRW

고향이야기

2020

Mixed colouring on Paper, 116.8 x 91 cm

30,000,000 KRW

고향이야기

2020

Mixed colouring on Paper, 116.8 x 80 cm

45,000,000 KRW

고향이야기

Mixed colouring on Paper, 72 x 116.8 cm

30,000,000 KRW

이력

  • 아트 마이애미 아트 페어
    대한민국 미술 축전 초대 아트 페어
    한국-이탈리아 미술전, 성립왕궁 전시실 MSM Gallery, 토스카니
    SEOUL OPEN ART FAIR-2007 Winter 2nd SOAF
    상해 아트페어, 상해 국제 무역 센터, 상하이
    FIA 아트페어, 베네수엘라
    Art Expo, New York
    한국화 비엔날레,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LA Art Fair, Convention Center, L.A.
    쾰른 아트페어, 쾰른
    2010 화랑미술제, BEXCO, 부산
    FAREAST@LONDON, The Mall, 런던
    2009-10 CIGE (China International Gallery Exposition) 2010, 중국 국제 무역센터, 베이징

  • ARTIST STATEMENT

    • 고향은 누구에게나 영원한 그리움의 대상이다. 고향에의 그리움을 재현하거나 가공하여 독자적인 언어로 변환하는 것이다. 정영모 작가의 최근 작업은 자신의 고향 얘기로 꾸며진다. 그의 작업은 원경의 자연풍경을 배경으로 전면에 꽃가지를 배치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의 꽃은 현실이고 아스라이 멀리 보이는 원경은 어린 시절을 의미하고 있다. 작품마다 모두 꽃가지 사이로 바라보는 수평구도의 풍경이 자리한다. 수평구도는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원경의 수평구도일 경우에는 그리움의 정서와 맞닿는다. 소나무 숲이나 젖소들이 풀을 뜯는 목장, 그리고 초가집 또는 기와집이 어깨를 맞대고 줄지어선 풍경은 아득히 먼 과거의 시공간으로 보이기에 그렇다. 이러한 방식의 공간 설정은 아득한 과거의 시간을 상정하기에 효과적이다. 아득히 멀리 보이는 고향의 정경은 그리움의 정서를 촉발하기 마련이다. 그 에피소드는 내용이 무엇이든지 간에 시적인 함축과 긴장이 자리한다. 한 눈에 파악되는 실제의 풍경이 아니라 단편적인 이미지들의 모음이기에 스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서정성이 농후한 시적인 함축미가 들어앉는다. 이처럼 서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그의 고향얘기는 누구에게나 개인적인 추억과 관련한 설화를 만들어준다. 잠시나마 복잡다단한 현실과 동떨어진 어린 시절을 찾아나서는 꿈의 여행을 하게 된다. 또한 죄 없는 밝고 맑고 투명한 색채를 통해 감정의 샤워를 맛보게 되는 것이다.


      Hometown is an object of eternal longing for everyone. We recreate or manipulate the nostalgia of our hometown and converts it into our own language. Youngmo JUNG's recent work is about his hometown. His work has a double structure, with a distant natural landscape in the background and flower branches in the foreground. The flowers in the foreground represent reality, while the distant view represents his childhood. All the works feature a horizontal landscape that is viewed through the flower branches. Horizontal compositions evoke feelings of stability and peace. A pine forest, a pasture with cows grazing, and a row of thatched or tiled houses standing shoulder to shoulder can seem like a time and place in the distant past. This type of spatial setting is effective in creating a sense of a distant past. A distant view of home is bound to trigger feelings of nostalgia, and no matter what the episode is about, there are poetic implications and tensions. As a collection of fragmentary images rather than a real landscape that can be grasped at a glance, there is no story. Instead, there are poetic implications that are rich in lyricism. With such a lyrical structure, the story of his hometown creates a narrative that anyone can relate to personal memories. For a moment, we are taken on a dream journey in search of a childhood far away from the complicated reality. You will also experience a shower of emotions through the innocent bright, clear, and transparent colors.

    작품구매문의

    purchase inquiry

    +82 10 6704 0678

    info@startart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