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ejeong KANG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가족을 그리는 작가"
Eunoia
2022
Mixed media on Canvas, 60.6 x 72.7 cm
6,000,000 KRW
Healing Moments
2023
Mixed media on Canvas, 162.2 x 130.3 cm
30,000,000 KRW
2023
2023 패밀리 라이프 – 강혜정 초대전 (갤러리 차만, 청담동)
2019
2019 Meraki전 (여의도 국회회관)
2017
Blue bird’s Dream전 초대전 (갤러리 올, 인사동)
2016
Blue bird’s Dream전 (경인미술관, 인사동)
Blue bird’s Dream전 초대전 (J갤러리, 청담동)
2015
Soaring Soar전 초대전 (솔하우스, 수원)
2013
‘담는다’전 (월산미술관, 성남)
2021
조형아트서울 (COEX, 서울)
파인아트 페어 (벡스코, 부산)
서울아트쇼 (COEX, 서울)
2017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3층)
서울아트쇼 (COEX, 서울)
2015
북경화랑 초대전 (중국, 북경)
2014
롯데월드호텔 (잠실점)
2013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본관)
2023
GCAS 2023 갤러리 차만 개관초대전
LA아트쇼 (LA컨벤션센터 웨스트홀)
2022
서울아트쇼 (COEX, 서울)
부산국제블루아트페어 (시그니엘부산호텔, 부산)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2022 (갤러리아포레 더 서울라이티움, 성수동)
2019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Art Seoul, 코엑스, 서울)
대구아트페어 (대구컨벤션센터, 대구시)
광주아트페어 (김대중 컨벤션센터, 광주시)
화랑미술제 (COEX, 서울)
2018
화랑미술제 (COEX, 서울)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Seoul, 코엑스, 서울)
서울아트쇼 (COEX, 서울)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BAMA, 벡스코, 부산)
2017
Affordable Art Fair (홍콩)
KPAM 대한민국미술제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3층)
2016
중국 북경 국제서화명가 초대전 (오동괴 미술관, 북경)
2015
월드아트페스티벌(킨텍스, 일산)
2014
W-Art Show(롯데월드호텔, 서울)
2021
여성작가 공모전 최우수상(한국여성작가협회)
2016
KPAM 대한민국미술제 대상(한국전업미술가협회)
2014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및 입선(한국미술협회)
한성백제 미술대전 국회의원 특별상(송파구,송파문화원)
아시아 태평양 미술대상전 우수상(아시아태평양미술협회)
2013
대한민국 누드 미술대전 우수상(월산미술관)
1988
동아미술제 입선(동아일보)
목우회 공모전 입선(목우회)
작품 소장
메가MGC커피
삼안산업(주)
스페이스 신선(주)
한국환경연구소(주)
세종한의원
속편한내과
유앤팜스뱅(주)
우리 삶을 유지하면서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그중 최우선은 자신의 가족을 잘 다스리는 것이다. 자기 집과 가족을 잘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은 대체적으로 다른 일도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한다. 가정을 잘 유지하는 것은 모든 일의 시작이자 사회 조직의 기본이며 가장 원초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가족과 관련된 작품을 하면서 여러 오브제와 색감으로 나의 이러한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나는 ‘집’을 통해 편안함을, ‘말’을 통해 진취성과 도약하는 가족의 구성원을, ‘새’를 그리며 자유롭지만 서로 속삭이는 자녀들을 표현하며 위 오브제들을 통해 혼자가 아닌 더불어 살며 어우러져 사는 가족의 중요성을 전달한다.
내가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의 근본은 비교적 심플하다. 팍팍한 도시 생활로 인해 가족해체는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 일이며 다음 세대를 생각했을 때 마음 한 켠이 불편했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지금 미로에 갇혀 있는 사람들처럼 매우 혼란스럽다. 그러나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암담한 관계에 연연하지 않고 이제는 밝고 긍정적인 모습으로 우리에게 본질적으로 소중한 ‘가족’에게 집중하는 것이다. 서로 기다리고 있으니 말이다.
나는 이 답답하고 괴로운 현실 또한 지나가리라는 암시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고 싶어 가족과 가족의 구성원에 해당하는 인물을 그리고 있다.